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8s
- 빨콩
- lenovo
- 원격
- 쿠버네티스
- ACASIS
- USB4.0
- Rocky LInux
- Code-Server
- 외장SSD
- 미지아
- VMM
- Thunderbolt3
- synology
- 탁상시계
- centos
- TRACKPOINT
- lubuntu
- 트랙포인트
- Kubernetes
- 시놀로지
- 포토박스
- talos linux
- 스마트 디스플레이
- k0s
- 가상컴퓨터
- 울트라나브
- IoT
- SSD인클로저
- 미니스튜디오
- Today
- Total
목록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25)
테크믈리에의 리뷰 공간

목차 0. 우분투 환경 구축 1. Docker 설치 및 K8S를 위한 준비 2. Nvidia GPU가 달린 노드를 위한 기초 세팅 3. Kubeadm을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 Rancher를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1. RKE1 (Docker)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4-2. RKE2 (Containerd)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서론 저번에는 Kubeadm을 통하여 K8S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았다면 이번에는 Rancher를 통하여 K8S 클러스터를 구축해볼 예정이다. Innovate Everywhere Rancher, the open-source multi-cluster orchestration platform, lets opera..

목차 0. 우분투 환경 구축 1. Docker 설치 및 K8S를 위한 준비 2. Nvidia GPU가 달린 노드를 위한 기초 세팅 3. Kubeadm을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 Rancher를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1. RKE1 (Docker)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4-2. RKE2 (Containerd)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서론 이번 시간에는 본격적으로 K8S 환경 구축을 위해 Kubeadm을 설치하고 다루는 방법에 관하여 다뤄보도록 하겠다. 로컬에 K8S를 구축하는 방법은 대표적으로 Kubeadm, MiniKube, Rancher 등을 통한 방법이 있는데, 이 중 MiniKube는 보통 간이 실험을 위하여 단일 노드에서 다수의 가상 노드를 쉽게..

목차 0. 우분투 환경 구축 1. Docker 설치 및 K8S를 위한 준비 2. Nvidia GPU가 달린 노드를 위한 기초 세팅 3. Kubeadm을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 Rancher를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1. RKE1 (Docker)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4-2. RKE2 (Containerd)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서론 이번 시간에는 Nvidia GPU가 달린 노드를 위하여 GPU Drvier 및 Cuda를 간단하게 설치하는 방법에 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Nvidia GPU가 없는 사람은 바로 3번째 글로 넘어가도 되고, Nvidia GPU가 있는 사람은 4-1 또는 4-2 과정을 꼭 참고해야 K8S 환경에서 GPU를 활용할 수 있으..

목차 0. 우분투 환경 구축 1. Docker 설치 및 K8S를 위한 준비 2. Nvidia GPU가 달린 노드를 위한 기초 세팅 3. Kubeadm을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 Rancher를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1. RKE1 (Docker)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4-2. RKE2 (Containerd)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서론 이번 시간에는 K8S 환경 구축에 필수인 Docker(Containerd)를 설치하고 NTP를 설치해볼 예정이다. Docker는 가상 컨테이너 환경 구축을 위해 사용될 예정이고 NTP는 K8S 클러스터 간 시간 동기화를 위해 사용될 예정이다. Docker 설치 도커의 공식 설치 방법 문서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목차 0. 우분투 환경 구축 1. Docker 설치 및 K8S를 위한 준비 2. Nvidia GPU가 달린 노드를 위한 기초 세팅 3. Kubeadm을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 Rancher를 통한 K8S 환경 구축 방법 4-1. RKE1 (Docker)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4-2. RKE2 (Containerd) 환경에서 Nvidia GPU 사용 방법 서론 이번에 작성하는 시리즈글은 본인이 연구실 및 회사에서 K8S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공부했던 내용들에 관하여 정리한 내용으로 이뤄져 있다. 기본적으로 우분투를 다룰 줄 아는 사람을 대상으로 글을 작성하지만, 혹시나 궁금증 혹은 어쩔 수 없이 우분투를 못 다루지만 K8S를 다뤄보고 싶은 사람을 위하여 우분투 설치방법부터 시..

목차 1. 서론 2. Lubuntu 설치 3. VNC 서버 구축 4. Code-Server 구축 이번 시간에는 우분투 시스템에 Code-Server를 올리는 방법에 관하여 보도록 하겠다. 굳이 Docker에서 제공되는 code-server 이미지를 쓰지 않고 우분투 시스템에 올리는 데에는 2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Docker의 code-server의 경우 커널 이미지가 우분투가 아니다 보니 호환이 되지 않는 프로그램도 있어 사용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두 번째로 계정 아이디부터 비밀번호, 인증서 등 여러 가지 설정이 귀찮아지는 측면이 있어 내가 직접 우분투 시스템에 서버를 올리는 것이 더욱 편하게 느껴졌다. 이 글에서는 Https 연결을 위한 인증서를 등록하는 방법은 Let's Encry..

목차 1. 서론 2. Lubuntu 설치 3. VNC 서버 구축 4. Code-Server 구축 * 2023.08.17 그동안 바빠서 까먹고 있었는데, 내용에 오류가 있어 수정해두었습니다. 앞서 2번 글을 따라 Lubuntu를 설치해보았다면 DDNS 없이 IP로만 접속하여 가상 환경을 써야 한다는 것에 큰 불편함을 느꼈을 것이다. 더욱이 이 경우 DSM 로그인이 풀리면 그대로 원격 제어 창 역시 꺼지기 때문에 여간 귀찮은 것이 아니다. 때문에 이번 글에서는 보다 나은 원격 접속 환경을 구축하기 위하여 VNC 서버를 설치하고 접속하는 방법에 관하여 다루어 보도록 하겠다. 이번 글의 경우 정말 구글에서 Lubuntu 관련 정보도 얼마 없는 와중에 추가 데스크톱 환경 설치 없이 LxQT를 그대로 활용하여 VN..

목차 1. 서론 2. Lubuntu 설치 3. VNC 서버 구축 4. Code-Server 구축 그러면 이번 시간에는 본격적으로 VMM에 가상 OS를 올리는 방법에 관하여 보도록 하겠다. 사용할 OS는 Lubuntu 20.04 LTS이며 다운로드는 다음 링크에서 할 수 있다. Lubuntu 20.04 LTS 다운로드 링크: Downloads – Lubuntu Lubuntu란? 우선 Lubuntu는 매우 생소한 OS이기 때문에 간략한 소개를 먼저 하도록 하겠다. Lubuntu는 우분투의 공식 변형판 중 하나로 보다 저사양 컴퓨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끔 Gnome 대신 LxQT라고 불리는 데스크톱 환경을 채택한 것이 특징이다. 데스크톱 환경을 제외한 나머지는 우분투 그대로이기 때문에 기존 우분투 환경에서 쓰..